반응형
수혈은 생명을 살리는 중요한 의료행위이지만, 그만큼 작은 실수 하나가 치명적인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
특히 수혈 전 검사 과정에서의 오류는 실제 임상 현장에서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며, 그 중 상당수가 간호사와 의료진의 사소한 실수에서 비롯됩니다.
"교차시험만 했다고 끝? 바코드만 붙였다고 끝?"
절대 아닙니다.
수혈 전 검사 단계에서 어떤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으며,
이를 어떻게 예방하고 대처해야 하는지 10가지 실제 사례를 통해 구체적으로 알아보세요!
1. 실제 혈액형과 병력기록상 혈액형 불일치
항목 | 주요 내용 |
---|---|
위험 상황 | 교차시험 완료 후 다른 혈액형의 혈액이 병동으로 잘못 도착 |
간호사 대처 | ① 이중 확인 중 발견 ② 수혈 중단 ③ 혈액은행 및 의사 보고 ④ 환자 설명 |
기록 사항 | EMR에 혈액형 불일치 발견 시점, 보고자, 환자 반응, 활력징후 모두 기록 |
교육 포인트 | 교차시험 완료 ≠ 확인 생략 OK 아님 → 마지막 확인은 간호사의 책임 |
2. 항체 선별 검사에서 unexpected antibody(예기치 않은 항체) 검출
항목 | 주요 내용 |
---|---|
상황 | unexpected antibody(anti-Kell) 검출 → 수혈 지연 발생 |
간호사 대처 | ① 수혈 보류 및 혈액은행 확인 ② 의사 보고 ③ 환자 설명 및 정서적 안정 도모 ④ 활력징후 및 상태 관찰 |
간호기록 | 항체명, 수혈 지연 사유, 환자 설명 및 동의, 활력징후 포함하여 EMR 작성 |
임상 교육 포인트 | 해당 항원 음성 혈액 사용 필수 → 일반 혈액 사용 시 부작용 초래 가능 |
3. 수혈 전 검사 미실시 후 수혈 처방
항목 | 주요 내용 |
---|---|
상황 | 검사 미실시 상태에서 수혈 처방 입력 |
간호사 대처 | ① EMR 확인으로 검사 누락 발견 ② 즉시 의사 보고 및 검체 채혈 ③ 환자 안정 도모 ④ 활력징후 모니터링 |
간호기록 | 검사 미실시, 간호사 판단, 의사 보고, 설명 내용, 활력징후 등 기재 |
임상 교육 포인트 | 수혈 전 검사는 간호사 확인 필수 → 처방만 보고 시작 금지 |
4. ABO 및 Rh 검사 결과지 누락 → 혈액 불출 거절
항목 | 주요 내용 |
---|---|
상황 | 최근 검사 누락으로 교차시험 불가 → 혈액 불출 거절 |
간호사 대처 | ① 검사 누락 확인 ② 재채혈 및 의사 보고 ③ 환자 설명 ④ 검사 의뢰 |
간호기록 | 검사 누락 이유, 환자 설명, 활력징후 포함 EMR 기록 |
임상 교육 포인트 | 72시간 이내 검사 결과 필수 → 과거 혈액형 정보만으로 수혈 불가 |
5. 검체 바코드 라벨이 환자 정보와 불일치
항목 | 주요 내용 |
---|---|
상황 | 바코드 라벨 정보 불일치로 검체 폐기 필요 |
간호사 대처 | ① 라벨 불일치 확인 ② 검체 폐기 ③ 의사 보고 및 환자 설명 ④ 재채혈 |
간호기록 | 오류 경위, 조치 내용, 환자 반응, 활력징후 |
임상 교육 포인트 | 2인 확인 후 라벨 부착 원칙 → 불일치 시 폐기 후 재채혈 |
6. 동일 성명을 가진 타 환자에게서 검체 채혈
항목 | 주요 내용 |
---|---|
상황 | 동일 성명 타 환자에게 검사 채혈함 |
간호사 대처 | ① 오류 인지 후 검체 폐기 ② 재채혈 ③ 환자 감정 안정 및 교육 |
간호기록 | 사건 경위, 환자 반응, 교육 내용, 활력징후 |
임상 교육 포인트 | 팔찌 및 등록번호 이중 확인 필수 |
7. 반복 수혈 환자인데 72시간 지난 검사 결과 사용
항목 | 주요 내용 |
---|---|
상황 | 검사 결과 유효기간 초과로 혈액 불출 거절 |
간호사 대처 | ① 유효기간 확인 및 문의 ② 환자 설명 및 동의 ③ 재검체 채혈 |
간호기록 | 검사 일자, 환자 반응, 조치사항, 활력징후 |
임상 교육 포인트 | 반복 수혈 환자도 72시간 기준 예외 없음 |
8. 교차 시험 양성 반응 → 혈액제제 변경 필요
항목 | 주요 내용 |
---|---|
상황 | 교차시험 양성 → Washed RBC로 변경 필요 |
간호사 대처 | ① 양성 반응 확인 ② 의사 보고 및 변경 요청 ③ 환자 설명 ④ 활력징후 모니터링 |
간호기록 | 교차시험 결과, 의사 지시, 환자 반응, 활력징후 |
임상 교육 포인트 | 교차시험은 반드시 시행 → 양성 시 대체 혈액 요청 필수 |
9. 응급상황으로 교차시험 완료 전 긴급 수혈 시도
항목 | 내용 |
---|---|
상황 | 환자 상태 불안정 → 교차시험 전 긴급 수혈 |
간호사 대처 | ① 의사 지시 하달 ② 보호자 구두 동의 ③ O형 Rh 음성 혈액 요청 ④ 활력징후 관찰 |
간호기록 | 환자 상태, 요청 사유, 지시자, 보호자 반응, 수혈 중 반응 |
임상 교육 포인트 | 응급 시 O Rh(-) 사용 / 응급 수혈 프로토콜 준수 필수 |
10. 과거 수혈 부작용 이력 확인 없이 검사 진행
항목 | 주요 내용 |
---|---|
상황 | 과거 FNHTR 이력 확인 없이 검사 시행 |
간호사 대처 | ① 환자 진술 확인 및 과거 기록 조회 ② 의사 보고 ③ 혈액제제 변경 및 약 처방 요청 ④ 환자 감정 관리 |
간호기록 | 과거 이력, 약물명, 수혈 전 계획, 활력징후 |
임상 교육 포인트 | 부작용 이력 확인은 구두 + 전산 기록 병행 필수 |
함께 보면 좋은 글 |
실습 관련 👉 간호 대학생 병원 실습 A+ 케이스 스터디 작성 전략 👉 NANDA 간호진단 정리표 (영문 포함) | 최신 277개 진단 완벽 요약 |
수혈 전 검사 단계 – 발생 가능한 사고 케이스 10가지 시나리오 바로가기 |
👉 1. Crossmatch Completed, but Blood Bank Sent Mismatched Blood 👉 2. Unexpected Antibody Detected in Antibody Screening 👉 3. Transfusion Order Placed Without Pre-Transfusion Testing 👉 4. Blood Bank Refuses to Issue Blood Due to Missing ABO and Rh Typing Results 👉 5. Specimen Barcode Label Does Not Match Patient Information 👉 6. Blood Drawn from Wrong Patient with Identical Name 👉 7. Repeated Transfusion Patient with Pre-Transfusion 👉 8. Positive Crossmatch Reaction 👉 9. Emergency Transfusion Before Crossmatch Completion (Using O Rh-Negative Blood) 👉 10. Pre-transfusion Testing Performed Without Verifying Past Transfusion Reaction History |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