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문간호사 자격 준비 중이신가요? ‘경력 인정 기관’이 제일 헷갈리시죠.
전문간호사 자격을 준비하다 보면, 가장 많이들 막히는 부분이 바로 “내가 지금 근무 중인 기관에서의 경력이 과연 인정되는가?”입니다.
병원, 보건소, 요양시설, 복지관 등 다양한 현장에서 일하고 있지만, 정작 자격 기준에 맞는 기관이 어딘지 정확히 아는 간호사는 많지 않습니다.
"이 경력이 안 된다고요?"
실제로 많은 분들이 자격 요건을 꼼꼼히 확인하지 않아, 수년간의 경력이 무효 처리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습니다.
그렇기 때문에 지금 이 글을 꼭 읽어야 하는 이유는 단 하나!
전문간호사 경력 인정이 가능한 기관을 정확하게 알고, 헛수고 없이 준비하기 위해서입니다.
1. 🏥 보건 전문간호사
- 지역보건의료기관 (지역보건법 제2조제1호)
- 보건진료소 (농어촌 특별조치법 제2조제4호)
-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 (보건위생 업무 종사 시)
2. 💉 마취 전문간호사
- 마취통증의학과, 회복실, 당일수술센터, 통증클리닉 등 마취 관련 업무 수행 기관
3.🧠 정신 전문간호사
실무경력 인정기관 목록
가.
- 「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」 제3조제3호에 따른
- 정신건강복지센터
- 같은 조 제4호에 따른 정신건강증진시설
- 같은 법 제15조의2에 따른 국가트라우마센터
- 같은 법 제15조의3에 따른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
나.
- 같은 법 제15조제6항에 따라
- 국가나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정신건강증진사업 등을 위탁받은 기관이나 단체
다.
- 「지역보건법」 제10조제1항에 따른
- 보건소 (정신건강 업무에 종사하는 경우만 해당)
라.
- 「의료법」 제3조에 따른
- 의료기관 (정신건강 업무에 종사하는 경우만 해당)
마.
- 「치매관리법」 제2조제5호에 따른
- 치매관리사업수행기관
4. 👪 가정 전문간호사
실무경력 인정기관
가. 「의료법」 제3조에 따른 의료기관
나. 「지역보건법」 제2조제1호에 따른 지역보건의료기관
또는 「농어촌 등 보건의료를 위한 특별조치법」 제2조제4호에 따른 보건진료소
다. 「노인장기요양보험법」 제2조제4호에 따른 장기요양기관
🦠 5. 감염관리 전문간호사
실무경력 인정기관
- 「의료법」 제3조제2항제3호에 따른
병원급 의료기관
→ (※ 기존 ‘종합병원’에서 ‘병원급’으로 확대됨)
🏭 6. 산업 전문간호사
실무경력 인정기관
가.
- 사업장 의무실, 건강관리실
- 산업안전보건 업무 담당 부서 또는 부속의료기관
나. 「산업안전보건법」 제21조, 제33조, 제48조, 제135조에 따른 다음 기관들 (해당 산업보건 업무에 종사하는 경우에 한함)
- 보건관리전문기관
- 안전보건교육기관
- 안전보건진단기관
- 특수건강진단기관
다. 고용노동부 및 관계 기관
- 「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법」에 따라 설립된
-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
- 대한산업보건협회
- 「정부출연연구기관 등의 설립·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」에 따라 설립된
- 한국노동연구원
- 노동건강연구소
- 한국직업건강간호협회
- 「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」 제27조제2항에 따른
- 근로자건강센터
- 직업병안심센터
- 「국민건강보험법」 제13조에 따라 설립된
- 국민건강보험공단
- 「산업재해보상보험법」 제10조에 따라 설립된
- 근로복지공단
(각각 산업보건 업무에 종사하는 경우만 해당)
- 근로복지공단
🚨 7. 응급 전문간호사
실무경력 인정기관
가. 「응급의료에 관한 법률」 제2조제5호에 따른
- 응급의료기관
나. 「119구조·구급에 관한 법률」 제8조 또는 제10조에 따른
- 119구조대 또는 119구급대
다. 「의료법」 제3조제2항제3호바목에 따른
- 종합병원
라. 「군보건의료에 관한 법률」 제2조제4호에 따른
- 군보건의료기관 중 군병원
👴 8. 노인 전문간호사
실무경력 인정기관
가. 「의료법」 제3조에 따른
- 의료기관
나. 「노인복지법」 제31조에 따른
- 노인복지시설
다. 「지역보건법」 제2조제1호에 따른
- 지역보건의료기관
또는 「농어촌 등 보건의료를 위한 특별조치법」 제2조제4호에 따른 - 보건진료소
라. 「노인장기요양보험법」 제2조제4호에 따른
- 장기요양기관
마. 「치매관리법」 제2조제5호에 따른
- 치매관리사업수행기관
🛌 9. 중환자 전문간호사
실무경력 인정기관
가. 「의료법」 제3조제2항제3호바목에 따른
- 종합병원
(단, 중환자 간호업무에 종사하는 경우만 해당)
나. 「군보건의료에 관한 법률」 제2조제4호에 따른
- 군보건의료기관 중 군병원
(중환자 간호업무에 종사하는 경우만 해당)
→ ※ 기존 "군병원 300병상 이상" 조건 삭제됨
🕊 10. 호스피스 전문간호사
실무경력 인정기관
가. 「의료법」 제3조에 따른
- 의료기관
(호스피스 관련 업무에 종사하는 경우만 해당)
나. 「의료법」 제3조제2항제3호바목에 따른
- 종합병원
다. 「노인장기요양보험법」 제2조제4호에 따른
- 장기요양기관
라. 「지역보건법」 제10조제1항에 따른
- 보건소
(호스피스 관련 업무에 종사하는 경우만 해당)
🎗 11. 종양 전문간호사
실무경력 인정기관
가. 「의료법」 제3조제2항제3호에 따른
- 병원급 의료기관
(법 제3조제2항제3호바목에 따른 종합병원 외에는 암 관련 업무에 종사하는 경우만 해당)
→ ✅ 기존 '종합병원'에서 '병원급'으로 확대
나. 「지역보건법」 제2조제1호에 따른
- 지역보건의료기관 (암 관련 업무에 종사하는 경우에 한함)
🤰 12. 임상 전문간호사
실무경력 인정기관
- 「의료법」 제3조제2항제3호바목에 따른
- 종합병원
→ ✅ 근무 분야 조건 삭제됨
- 종합병원
👶 13. 아동 전문간호사
실무경력 인정기관
가. 「의료법」 제3조제2항제3호바목에 따른
- 종합병원
나. 「아동복지법」 제3조제10호에 따른
- 아동복지시설
다. 「영유아보육법」 제2조제3호에 따른
- 어린이집
또는 같은 법 제7조에 따른 - 육아종합지원센터
라. 「학교보건법」 제3조에 따른
- 보건시설
마. 「유아교육법」 제2조제2호에 따른
- 유치원
✅ 군병원이란?
- 「군보건의료에 관한 법률」 제2조 제4호
“군보건의료기관”이란 군병원, 의무대 등 국방부 및 육·해·공군 소속의 보건의료기관을 의미함. - 「국방환자관리 훈령」 제2조 제2호
“군병원”이란 국군의무사령부 소속병원, 해군포항병원, 해양의료원, 항공우주의료원을 말함.
(출처: 국가법령정보센터)
📌 국군의무사령부 소속 군병원 목록:
- 고양병원
- 양주병원
- 포천병원
- 춘천병원
- 홍천병원
- 강릉병원
- 수도병원
- 대전병원
- 함평병원
- 대구병원
- 구리병원
(출처: 국군의무사령부 홈페이지 https://www.medcmd.mil.kr/user/medcmd/index.action)
🔍 근무 중인 병원의 종류 확인 방법
- 대한간호협회 홈페이지
- 경로: 정보자료실 → 병원현황
- URL: http://www.koreanurse.or.kr/resources/hospital_stats.php
대한간호협회
병 원 명 21c한일 (290) 지 역 경남 설립구분 개인 종 류 병원 전화번호 055-634-0900 팩스번호 055-634-0907 주소 (53275) 경상남도 거제시 사등면 지석로 70 병 원 명 21세기 (92) 지 역 서울 설
www.koreanurse.or.kr